본문 바로가기
노사전과학/노벨상 수상자들

2023 노벨 생리의학상: mRNA 백신의 선구자들, 팬데믹 시대의 영웅

by 노사전과학 2024. 5. 28.
반응형

커리코와 와이스먼은 mRNA의 불안정성과 면역 유발 문제를 해결하여 mRNA 백신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커리코는 mRNA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안정성을 높이고 면역 반응을 줄이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와이스먼은 mRNA가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방식을 연구하여 특정 변형을 통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의 연구는 mRNA 백신의 실용화 가능성을 열었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mRNA 백신의 신속한 개발과 보급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I. mRNA 백신, 새로운 백신 기술의 패러다임

1. mRNA 백신의 작동 원리:

mRNA 백신은 기존 백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기존 백신은 약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직접 주입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했습니다. 반면,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유전 정보(mRNA)를 우리 몸에 전달합니다. 우리 몸의 세포는 이 mRNA를 읽고 바이러스 단백질을 생성하며, 이 단백질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면역 체계가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항체는 실제 바이러스 침입 시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

 

 

2. mRNA 백신 개발의 역사:

mRNA 백신의 개념은 1990년대 초에 등장했지만, mRNA의 불안정성과 면역 반응 유발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용화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mRNA는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고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유발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커털린 커리코(Katalin Karikó)와 드루 와이스먼(Drew Weissman)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커리코는 mRNA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고, 와이스먼은 mRNA가 면역 반응을 적절하게 유발하도록 조절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의 연구는 mRNA 백신의 실용화 가능성을 열었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mRNA 백신의 신속한 개발과 보급에 기여했습니다.

II.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의 삶과 업적

1. 커털린 커리코 (Katalin Karikó): mRNA 백신의 어머니

헝가리에서 태어나 세게드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커털린 커리코는 1985년 미국으로 건너가 mRNA 연구에 뛰어들었습니다. 당시 mRNA는 불안정하고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유발하여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낮게 평가되었습니다. 하지만 커리코는 mRNA의 잠재력을 확신하고 끊임없이 연구를 이어갔습니다.

1990년대 초,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연구를 진행하던 커리코는 mRNA가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을 밝혀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mRNA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면역 반응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mRNA 백신 개발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커리코의 연구는 당시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고, 연구 자금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mRNA 연구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고, 묵묵히 연구를 지속했습니다. 2005년, 드루 와이스먼과 함께 mRNA 백신 기술의 핵심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는 훗날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2. 드루 와이스먼 (Drew Weissman): mRNA 백신의 면역학적 기반 마련

미국의 면역학자인 드루 와이스먼은 1980년대 후반부터 mRNA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그는 mRNA가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방식에 주목했고, 특정 mRNA 변형을 통해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1998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커리코와 함께 연구를 시작한 와이스먼은 커리코의 mRNA 변형 기술과 자신의 면역학적 지식을 결합하여 mRNA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들은 mRNA 백신이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면서도 과도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커리코와 와이스먼의 공동 연구는 mRNA 백신 개발의 핵심적인 돌파구를 마련했으며, 이들의 기술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mRNA 백신의 신속한 개발과 보급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III. mRNA 백신의 영향과 미래

1. 코로나19 팬데믹 종식의 주역:

커리코와 와이스먼의 mRNA 백신 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빛을 발했습니다. 전통적인 백신 개발 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개발된 mRNA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수억 명에게 접종되어 수많은 생명을 구하고 팬데믹 종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mRNA 백신 기술의 잠재력을 전 세계에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백신 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2. 다양한 질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mRNA 백신 기술은 코로나19를 넘어 다양한 질병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현재 mRNA 기반 암 백신, 독감 백신, HIV 백신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은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mRNA 백신은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맞춤형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3. mRNA 백신 기술의 과제와 전망:

mRNA 백신 기술은 아직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습니다. mRNA의 안정성을 더욱 높이고,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개선해야 합니다. 또한, 백신 생산 및 유통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백신 접근성을 확대하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mRNA 백신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mRNA 백신은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것입니다.

 

반응형